2025.04.12 (토)

  • 구름많음동두천 12.0℃
기상청 제공

식품 · 유통 · 의료

신세계면세점, 中 광군제 당일 전 고객 1111만원 적립금

(조세금융신문=박가람 기자) 신세계면세점이 중국판 블랙프라이데이로 불리는 광군제(光棍節·11월11일)를 맞아 다양한 프로모션으로 중국인 고객 잡기에 나섰다.

 

신세계면세점은 광군제 당일 모든 고객을 대상으로 1111만 원의 적립금과 화장품·향수 구매 시 사용 가능한 스페셜 추가 적립금 111만 원을 증정한다. 단, 적립금 최대 사용률은 브랜드나 상품별로 상이하다.

 

00시, 09시, 13시, 19시 총 4차례에 걸쳐 5명씩 선정해 애플 에어팟, 다이슨 헤어 드라이기, 아이폰XS, 고프로 등의 경품 제공 이벤트도 열린다.

 

11월 11일 쌍십일절을 기념해 11달러 또는 111달러에 가까운 가격대의 제품을 구매하면 알리페이 홍바오를 증정하며, 구매금액별 즉시 할인가능한 추가 적립금도 주어진다.

 

신세계면세점 관계자는 "올해는 10월부터 중화권 대상 인터넷면세점에서 광군제 사전 이벤트를 진행하며 중화권 고객 공략에 나섰다"며 "11월에는 주말마다 오프라인 이벤트도 병행하며 국내외 모든 고객을 대상으로 쇼핑 혜택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송두한 칼럼] 만성적 내수불황, 제대로 된 민생추경이 답이다
(조세금융신문=송두한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 2024 회계연도 세입‧세출 실적 발표에 따르면, 작년 세수결손액(본예산 대비)은 –30.8조원인데, 이 중 법인세 감소분(-15.2조원)이 절반 가까이 된다. 정부가 건전재정을 국정 기조로 격상한 이후 2023년 –56.4조원에 이어 2년 연속 대규모 세수펑크 사태가 발생한 셈이다. 문제는 세수 충격이 중산층과 서민경제 전반에 걸친 증세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민생분야는 ‘긴축을 통한 경기부양’이라는 역설적 상황에 직면한 셈이다. 건전재정발 세수펑크 사이클이 만성적 내수불황의 주범인 이유다. 2022년 이후 ‘자기파괴적 세수펑크 사이클’이 장기화되면서 중산층과 서민경제는 만성적 내수불황의 늪에 빠진 상태다. 경제가 어려울 때 정부가 건전재정 중독에 빠져 재정은 더 불건전해지고, 그 여파가 시차를 두고 민생긴축 압력을 높이는 악순환(세수펑크⟶고강도 민생긴축⟶내수불황⟶성장률 쇼크⟶추가 세수펑크) 경제가 반복되고 있다. 정부는 실패로 검증된 건전재정 기조를 전면 폐기하고, 중장기 균형 재정으로 정책 기조를 전환해야 한다. 특히, 제대로 된 민생추경을 통해 내수불황을 타개할 근본 대책을 담아내야 할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