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0 (목)

  • 맑음동두천 17.2℃
기상청 제공

인건비의 모든 것

[5분특강 시즌2]인건비의 모든 것②상여 지급할 때 소득세는 얼마나 떼야 하나?

급여대장 등 각종 지급명세서 작성 방법 숙지 중요

 

본 강의는 2018년 10월 기준 세법을 적용하여 촬영하였습니다.

매년  또는 수시로 세법이 변경되어 적용 기준이 다를 수 있으므로

자세한 상담은 강사 또는 세무사, 회계사 등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편집자주

 

세무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경우, 급여대장 등의 각종 지급명세서를 작성하여야 원천세 신고 대상이 되는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에 불러오기를 이용한 신고가 가능하므로 오늘은 그 첫 번째 단계로 급여대장 작성방법부터 알아보고자 한다.

 

일단 사용하는 세무프로그램에서 ‘사원등록’으로 들어가서 해당 직원의 성함, 주민등록번호 등을 입력한 후 급여대장을 작성하는 메뉴로 들어간다.

 

이때 근로소득이 아닌 사업소득이나 이자, 배당, 기타소득 모두 해당 소득을 받는 자의 인적사항을 먼저 입력해야 해당 지급명세서를 작성할 수 있으므로 항상 소득 받는 자의 인적사항 입력이 첫 번째 단계다.

 

급여대장에 가서 해당 직원의 급여를 입력한 후 해당 4대보험료는 처음 사원등록 시 월급여를 입력해 두었다면 자동계산이 되지만 정확한 4대 보험료를 반영하고 싶다면 ‘사회보험 통합징수포털 (https://si4n.nhis.or.kr)’ 사이트에 가서 인별 산출내역을 조회해 보면 된다.

 

그리고 두루누리 지원금을 확인하고 싶다면 ‘국민연금edi (https://edi.nps.or.kr/ep/index.jsp)’ 사이트와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http://total.kcomwel.or.kr/main.do)’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근로소득세인 간이세액은 홈택스(https://www.hometax.go.kr) ‘조회/발급’에서 월급여와 부양가족 인원수를 넣으면 확인할 수 있다.

 

상여를 지급하는 경우에는 소득세를 어떻게 떼어야 할까? 이는 급여지급 규정에 지급대상기간이 정해져 있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지급대상 기간이 정해진 상여인 경우에는 ‘(상여+상여 외의 급여)/지급대상기간 월수’ 금액에 해당하는 간이세액표 상의 해당 세액에 해당 대상 기간의 월수를 곱한 후에 지급대상 기간 상여 외의 급여에 대한 기 원천징수세액을 차감한 금액이 원천징수할 소득세가 된다.

 

지급대상 기간이 정하여지지 않은 경우에는 상여를 받은 해당 연도의 1월 1일부터 지급일이 속한 달까지의 앞서 설명한 방식을 적용하여 계산한 소득세를 원천징수 하면 된다.

 

이 방식이 상여를 지급하는 달 월급여를 평균급여로 재정산 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아주 드물게는 상여를 지급하는 달의 원천징수 소득세가 오히려 적어지는 경우도 있다.

 

이현희 세무사 프로필

  •  (현) 현백 세무회계사무소 대표 세무사
  •  (전) 세무법인 예람 근무세무사
  •  (전) 국세청 원천세 / 종합소득세 상담위원
  •  (전) 해찬솔세무회계사무소  파트너세무사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송두한 칼럼] 만성적 내수불황, 제대로 된 민생추경이 답이다
(조세금융신문=송두한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 2024 회계연도 세입‧세출 실적 발표에 따르면, 작년 세수결손액(본예산 대비)은 –30.8조원인데, 이 중 법인세 감소분(-15.2조원)이 절반 가까이 된다. 정부가 건전재정을 국정 기조로 격상한 이후 2023년 –56.4조원에 이어 2년 연속 대규모 세수펑크 사태가 발생한 셈이다. 문제는 세수 충격이 중산층과 서민경제 전반에 걸친 증세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민생분야는 ‘긴축을 통한 경기부양’이라는 역설적 상황에 직면한 셈이다. 건전재정발 세수펑크 사이클이 만성적 내수불황의 주범인 이유다. 2022년 이후 ‘자기파괴적 세수펑크 사이클’이 장기화되면서 중산층과 서민경제는 만성적 내수불황의 늪에 빠진 상태다. 경제가 어려울 때 정부가 건전재정 중독에 빠져 재정은 더 불건전해지고, 그 여파가 시차를 두고 민생긴축 압력을 높이는 악순환(세수펑크⟶고강도 민생긴축⟶내수불황⟶성장률 쇼크⟶추가 세수펑크) 경제가 반복되고 있다. 정부는 실패로 검증된 건전재정 기조를 전면 폐기하고, 중장기 균형 재정으로 정책 기조를 전환해야 한다. 특히, 제대로 된 민생추경을 통해 내수불황을 타개할 근본 대책을 담아내야 할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