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관피아 척결’ 세월호 때만 ‘반짝 행정’

14.5%까지 내려간 전관예우 기관장·위원장, 1년 후 37.1%로 회복
서울대·영남 출신 ‘그들만의 리그’…조경태 위원장 “끝까지 추적해서 해결해야”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정부가 세월호 참사 당시 관피아 척결을 내걸고 인사혁신처까지 출범했지만, 1년 후 다시 관피아가 공공기관장을 싹쓸이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서울대-영남출신의 독식이 두드러졌다. 


더불어민주당 김종민 의원은 13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종합국정감사에서 “우리나라 공공기관장, 상임이사장 중 관료출신, 정계출신이 220명, 53.1%나 된다”며 “세월호 참사 당시 국민들이 관피아에 대한 질타를 했는데, 1년 후 14.5%까지 떨어졌다가 다시 1년 후 원상복구가 됐다. 1년짜리 정부냐”고 꼬집었다.

세월호 참사 이전 신규취임한 100명의 공공기관 기관장 중 관피아 비율은 43%였으나, 정부가 관피아 척결을 위해 인사혁신처를 만들면서 세월호 참사 후 2015년 4월까지 취임한 기관장 중 관피아의 비중은 14.5%까지 떨어졌다. 하지만 다시 2015년 5월부터 올해 9월말 취임한 기관장 중 관피아 기관장은 68명, 전체의 37.1%로 비중이 늘어났다. 

김 의원은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게 “기재부장관의 모든 책임은 아니지만, 경제부총리로서 감사위원에 대한 임면권이 있고, 공공기관 평가, 관리감독 책임도 있다. 어떻게 보느냐”고 물었다.

유 부총리는 “임면권은 기재부 장관 권한이지만, 실질적으로 공공기관이나 상임위원장 선임은 공공기관운영위원회에서 하고, 전 임명만 한다”고 답했다.

그러자 김 의원은 “(기관장·위원장 중) 영남권 출신 인사가 159명, 호남은 59명 밖에 안된다. 공공기관을 영남에서 특허냈느냐”며 “서울대 출신은 113명인데 연고대는 각각 서른명 정도 수준 밖에 안 된다. 지역이라든가 출신 학교 등이 영향을 미친다면 공공기관 신뢰가 떨어진다”고 질타했다. 

이어 “고위간부들의 노동유연성이 국가적으로, 국가경쟁력을 위해 꼭 필요하다”며 “유 부총리께서 권한 있는 건 조정해주고, 아닌 것은 협의를 통해 해달라”고 요청했다. 

유 부총리는 거듭 기관장 임명은 공공기관운영위원회 소관이라는 점을 언급하며 “이것이 잘 운용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조경태 기획재정위원장은 “문제가 심각한 거 같다. 관피아 척결하자고 하면 끝까지 추적해서 해결할 의지를 보여야 한다”며 “우리사회에 만연한 기득권을 개혁할 의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인터뷰] 임채수 서울지방세무사회장 권역별 회원 교육에 초점
(조세금융신문=이지한 기자) 임채수 서울지방세무사회장은 지난해 6월 총회 선임으로 회장직을 맡은 후 이제 취임 1주년을 눈앞에 두고 있다. 임 회장은 회원에게 양질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지방회의 가장 큰 역할이라면서 서울 전역을 권역별로 구분해 인근 지역세무사회를 묶어 교육을 진행하고 있어 회원들의 호평을 받고 있다. 올해 6월에 치러질 서울지방세무사회장 선거 이전에 관련 규정 개정으로 임기를 조정해 본회인 한국세무사회는 물론 다른 모든 지방세무사회와 임기를 맞춰야 한다는 견해도 밝혔다. 물론 임원의 임기 조정을 위해서는 규정 개정이 우선되어야 하지만, 임기 조정이라는 입장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은 처음이라 주목받고 있다. 임채수 회장을 만나 지난 임기 중의 성과와 함께 앞으로 서울지방세무사회가 나아갈 길에 대해 들어봤다. Q. 회장님께서 국세청과 세무사로서의 길을 걸어오셨고 지난 1년 동안 서울지방세무사회장으로서 활약하셨는데 지금까지 삶의 여정을 소개해 주시죠. A. 저는 1957년에 경남의 작은 시골 마을에서 8남매 중 여섯째로 태어났습니다. 어린 시절에는 대부분 그랬듯이 저도 가난한 집에서 자랐습니다. 그때의 배고픈 기억에 지금도 밥을 남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