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전문가칼럼]우리나라 역사전쟁 대처 현황

동북아 역사전쟁을 아시나요?

 

(조세금융신문=전우성 관세사‧역사연구가) 중국 및 일본의 우리나라 고대사에 대한 역사왜곡이 이루어지면서 우리의 영토인 한반도가 위협을 받고 있는 가운데 우리는 이에 대해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지와 현재 국내 상황은 어떠한지 살펴보아야 제대로 된 역사전쟁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과 관련해서는 ‘한사군’과 ‘만리장성’이 쟁점이 된다. 그리고 일본과 관련해서는 ‘임나일본부설’이 쟁점이 된다. 이러한 쟁점에 대해서 우리나라 주류 역사계는 제대로 대항하기는커녕 중국 측과 일본 측의 주장을 그대로 수용하고 있음으로써 재야 사학계로부터 신랄한 비판을 받고 있다.

 

그동안의 학문적인 성과와 유적과 유물의 발굴 성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잘못된 역사관을 수정하지 않음으로써 중국과 일본에 과거 역사계뿐 아니라 현재에 있어서도 실질적으로 우리나라를 침탈하는 빌미와 근거를 제공하고 있는 형편이다.

 

먼저 중국 쪽의 한사군 문제를 살펴보자.

 

한사군의 문제는 그 위치가 제일 중요한 쟁점 사항이다. 그 위치를 따지다 보니 원래 고조선은 어디에 있었고 그 고조선에 연나라 위만이 망명해 건립한 위만조선은 어디에 있었는지가 문제가 되었다. 또한 한사군의 위치에는 만리장성의 위치와 연관이 있다.

 

한사군 문제

 

(1) 낙랑군 평양설(한사군 한반도설) 제기

 

일제 식민주의 사학자들에 의하여 우리나라 근대사학이 성립되면서 정립된 주장이다. 물론 조선시대 후기 정약용 등 일부 사학자에 의하여 기자조선과 연관시켜 제기되기도 했었다. 위만조선과 중국 한나라의 경계였던 패수가 대동강이라는 잘못된 인식을 근거로 중국에 대한 사대주의 모화사상에 의하여 제기된 주장이 일제 식민주의 사학자들에 의하여 의도적으로 낙랑군 평양설이 확립되기에 이른 것이다.

 

그동안 연구결과에 의하면 이설의 근거는 오로지 ‘패수(浿水)는 대동강’이라는 잘못된 가설과 《삼국유사》 및 《삼국사기》상의 단군 왕검의 평양(서경) 도읍 기록을 근거로 일제 식민주의 학자들이 조작한 유적과 유물뿐이다.

 

이설은 현재까지도 주류 강단 사학계에서 그대로 이어받아 유지되고 있어 재야 민족사학계로부터 거센 비판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그 이유는 우리나라에는 남아 있지 않지만 당시를 기록한 중국의 사료에는 평양에 한사군이 설치되었다는 기록이 전혀 없다. 중국 지역에 설치된 기록 밖에 없는 것이다.

 

그리고 ‘한사군이 설치된 고조선에 가려면 패수를 건넌다’는 기록상의 패수를 연구한 결과에 의하면 그 패수는 대동강이 아닌 것으로 대동강이 패수가 된 것은 나중에 이름이 옮겨온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고조선의 도읍인 평양 또한 지금의 평양이 아니고 그동안 평양에서 발굴되어 낙랑군 평양설의 증거자료로 활용되었던 유적과 유물이 조작되거나 왜곡된 것으로 낙랑군 평양설의 증거물이 될 수 없다는 것이다.

 

더군다나 일제시대 이후 만주지방과 평양지방에서 발굴된 유적과 유물에 의하면 고조선의 중심지는 한반도 내지는 평양 지방이 아니고 중국 지방이라는 결과에 의한 것이다.

 

(2) 고조선 이동설

 

이와 같이 낙랑군 평양설이 비판받고 그동안의 고고학적 성과에 의하여 한반도보다는 만주 및 중국 지방에서 더욱 발전된 유적과 유물이 발견되어 그동안 유지하였던 ‘낙랑군 평양설’이 위협을 받게 되자 주류 강단사학계에서는 기존 주장을 유지하고자 변명 자구책으로 변칙적인 ‘고조선 이동설’을 내놓게 되었다.

 

내용에 따르면 고조선은 처음에는 지금의 중국 요하의 동쪽인 요동 지방에 있었는데 연나라의 진개라는 장수에 의하여 침략(BC 250~270)당하여 약 2000리의 영토를 빼앗겼다는 것이다. 이 빼앗긴 요동땅에 연나라는 군(郡)을 설치함으로써 고조선은 동쪽으로 쫓겨 한반도 청천강 이남지방 즉, 한반도의 평양 지방으로 왔다가 그곳에 연나라 위만이 망명해 와서 위만조선(BC 194~108)을 세운 후, 한나라에 멸망(BC 108)당해 그곳에 한사군이 설치되었다는 것이다.

 

이를 뒷받침하는 증거로 제시한 것이 ① 명도전과 ② 세형동검 그리고 ③ 연화보 세죽리 문화이다.

 

즉 ① 명도전은 위만조선과 국경을 접하였던 적대국 연나라 화폐인데 이것이 만주지방과 한반도 평안도 지방에까지 발굴되는 것으로 보아 연나라 침략에 의한 동쪽 이동의 증거물로 제시하였다. 그러나 그 동안의 계속된 명도전의 출토 분포를 보면 고조선의 영역과 일치하여 나타나고 있어 연나라의 조선 침략 후의 동쪽지방에서 나타난다는 고조선 이동설의 증거가 되지 못한다는 것이 밝혀졌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밝혀진 사실에 의한다면 이는 오히려 고조선의 화폐인 것으로 밝혀졌다.

 

② 세형동검의 경우 고조선의 기존 비파형동검이 연나라의 영향을 받아 세형동검으로 바뀌어 한반도 북부 및 만주 지방에서 나타난다는 것을 증거로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후 지속된 발굴에 의하여 기존의 요동지방에서도 나타남은 물론 한반도에서의 발굴 사실은 연나라의 영향에 의한 것이 아니라 고조선 자체의 자연적인 발달 전환 과정이 더 설득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③ 연화보 세죽리 문화는 연나라의 영향으로 기존의 고조선 문화가 변화하여 한반도 북부 및 만주 지방에 농경문화가 변화된 것을 근거로 내세웠으나 이후 연구에 의하면 이는 고조선 자체의 자연스런 문화 발전 및 전환 과정의 것이지 중국 연나라의 영향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이 고조선 이동설은 어떠한 연구 성과에 의하여 주장된 것이 아니라 기존의 ‘낙랑군 평양설(한사군 한반도설)’이 그동안의 발굴과 연구 성과에 의하여 위협을 받자 이를 변명하고자 비학문적으로 형성한 학설인 것이다. 즉, 식민지학설의 변형인 것이다.

 

더군다나 이 주장은 원천적으로 중국 사료상의 연나라 진개의 고조선 공격 및 연나라의 고조선 영역 확보에 따른 고조선의 동쪽 이동이라는 전제로부터 시작된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중국사서의 기록 신빙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으며 더군다나 당시 전국시대 7웅 중 연나라의 위상은 약소국이었고 그 영역은 지금의 북경에도 못 미치는 상태였다. 그리고 고조선을 침략하여 설치하였다는 상곡(上谷), 어양(漁陽), 우북평(右北平), 요서(遼西), 요동(遼東)군은 지금의 북경인근 지방이었으며, 그때 조양(造陽)에서 양평(襄平)까지 쌓았다는 연장성은 지금의 중국 하북성 장가구시 일대의 조양에서 지금의 천진시 계현 일대의 양평인 것이다.

 

따라서 이보다 나중의 고구려시대에 요동이라고 하는 요하 동쪽의 요동이 이시기에는 지금의 북경 동쪽인 것이다. 그러므로 고조선이 연나라에 빼앗겼다고 기록된 지역은 현북경 바로 옆의 동쪽과 남쪽인 중국 하북성 지역으로써 멸망 직전의 연나라 강역과 동일한 지역이었다.

 

이후 진나라 말기 및 한나라 초기에 고조선이 이들 지역을 다시 회복하였으며, BC195년 위만조선이 들어서면서 이들 지역을 계승하였던 것이다. 이후 진나라 시기에는 위만조선과의 국경선에 진나라가 진나라 장성을 쌓았다. 이 장성이 진나라 만리장성으로써 이후 중국의 국가인 한나라는 이를 그대로 물려받은 후 BC 108년 한무제가 위만조선을 침략하여 한사군을 설치한 것이 바로 이곳인 것이다.

 

※본 연재 글은 필자 개인 의견으로 본지의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프로필] 전우성 관세사‧역사연구가

• 케이앤제이 관세사무소 대표 관세사
• 전) 관세청 근무
• 성균관대학교 행정대학원 감사행정학과 석사
• 성균관대학교 행정학과 학사
• 저서
<다시 쓴 한국 고대사(2015, 매일경제신문사)>

<한국 고대사 다시 쓰여져야 한다(1998, 을지서적)>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인터뷰] 임채수 서울지방세무사회장 권역별 회원 교육에 초점
(조세금융신문=이지한 기자) 임채수 서울지방세무사회장은 지난해 6월 총회 선임으로 회장직을 맡은 후 이제 취임 1주년을 눈앞에 두고 있다. 임 회장은 회원에게 양질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지방회의 가장 큰 역할이라면서 서울 전역을 권역별로 구분해 인근 지역세무사회를 묶어 교육을 진행하고 있어 회원들의 호평을 받고 있다. 올해 6월에 치러질 서울지방세무사회장 선거 이전에 관련 규정 개정으로 임기를 조정해 본회인 한국세무사회는 물론 다른 모든 지방세무사회와 임기를 맞춰야 한다는 견해도 밝혔다. 물론 임원의 임기 조정을 위해서는 규정 개정이 우선되어야 하지만, 임기 조정이라는 입장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은 처음이라 주목받고 있다. 임채수 회장을 만나 지난 임기 중의 성과와 함께 앞으로 서울지방세무사회가 나아갈 길에 대해 들어봤다. Q. 회장님께서 국세청과 세무사로서의 길을 걸어오셨고 지난 1년 동안 서울지방세무사회장으로서 활약하셨는데 지금까지 삶의 여정을 소개해 주시죠. A. 저는 1957년에 경남의 작은 시골 마을에서 8남매 중 여섯째로 태어났습니다. 어린 시절에는 대부분 그랬듯이 저도 가난한 집에서 자랐습니다. 그때의 배고픈 기억에 지금도 밥을 남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