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5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J노믹스 세제개편 ③] 대기업 공제 원점검토…기업소득환류세 폐지·확대 갈림길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대기업 공제가 모두 원점에서 검토대상에 올랐다. 정부는 올해 세법개정안에 법인세 명목세율을 넣지 않겠다고 밝혔고, 지난해 법인세 인상을 추진했던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 정의당도 더이상은 명목세율 인상을 주장하지 않고 있다.


다만 실효세율 인상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2008년 20.5%에 달했던 평균실효세율이 법인세 명목세율 인하 등으로 2015년 기준 16.1%까지 낮아졌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국정기획자문위는 중소기업이 적용되는 일부 조세특례를 제외하고 주요 공제를 대부분 검토대상에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

연구개발세액공제는 2015년 2.9조원에서 2016년 2.1조원 수준으로 낮아졌기는 하지만, 여전히 가장 큰 덩어리에 해당한다. 법인세 명목세율을 1% 올릴 때 1.3조원의 세수증대효과가 나온다는 점을 감안하면, 연구개발세액공제만 손을 봐도 법인세 명목세율 1% 올리는 효과가 나오는 셈이다. 

특히 연구개발세액공제는 주로 대기업에 집중된다는 비판을 받아왔는데, 박주현 국민의당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2014년 기준 대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67.8%로 과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연구·인력개발을 위한 설비, 생산성향상시설, 에너지절약시설 투자세액공제 등도 부분적으로 축소절차를 밟을 것으로 관측된다. 2015년 기준 이 세 공제의 감면액은 약 4500억원에 달한다. 

기업유보금에 과세하는 기업소득환류세제 역시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관측된다. 

국정기획자문위에서 바라보는 문제점은 증가하는 유보금 규모에 비해 과세규모가 적다는 점으로 재벌닷컴에 따르면, 30대 그룹의 사내유보금은 2014년 602.4조원, 2015년 655조원, 2016년 681조원으로 증가했다. 반면 국회 예산정책처가 발간한 ‘2017 조세의 이해와 쟁점’에 따르면, 2015년 귀속 산출된 환류세액은 5755억원 정도 수준에 불과했다. 

따라서, 강화하는 방향으로 고민이 이뤄지고 있으나, 제도 신설 당시 복잡하게 산식을 만들어 전면 수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한편, 아예 폐지를 하는 방안까지 제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 내용은 아직 당·정에 아직 협의가 안 된 상황인데 기획재정부 측은 ‘검토 중’이란 입장이며,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전문위원회 측에선 아직 아는 바가 없다고 밝히고 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인터뷰] 임채수 서울지방세무사회장 권역별 회원 교육에 초점
(조세금융신문=이지한 기자) 임채수 서울지방세무사회장은 지난해 6월 총회 선임으로 회장직을 맡은 후 이제 취임 1주년을 눈앞에 두고 있다. 임 회장은 회원에게 양질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지방회의 가장 큰 역할이라면서 서울 전역을 권역별로 구분해 인근 지역세무사회를 묶어 교육을 진행하고 있어 회원들의 호평을 받고 있다. 올해 6월에 치러질 서울지방세무사회장 선거 이전에 관련 규정 개정으로 임기를 조정해 본회인 한국세무사회는 물론 다른 모든 지방세무사회와 임기를 맞춰야 한다는 견해도 밝혔다. 물론 임원의 임기 조정을 위해서는 규정 개정이 우선되어야 하지만, 임기 조정이라는 입장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은 처음이라 주목받고 있다. 임채수 회장을 만나 지난 임기 중의 성과와 함께 앞으로 서울지방세무사회가 나아갈 길에 대해 들어봤다. Q. 회장님께서 국세청과 세무사로서의 길을 걸어오셨고 지난 1년 동안 서울지방세무사회장으로서 활약하셨는데 지금까지 삶의 여정을 소개해 주시죠. A. 저는 1957년에 경남의 작은 시골 마을에서 8남매 중 여섯째로 태어났습니다. 어린 시절에는 대부분 그랬듯이 저도 가난한 집에서 자랐습니다. 그때의 배고픈 기억에 지금도 밥을 남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