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카드 · 제2금융

저축은행 부실 여파…특별계정채권 발행 31조원 돌파

2011년 15조원이면 충분하다던 예금보험공사, 발행액 31조원 넘겨
3년 만기상환이던 특별채권, 작년에는 7년만기 상환으로 기간 늘어, 이자는 어떻게?

(조세금융신문=이지한 기자) 지난 2011부터 2013년에 발생한 저축은행 부실로 인해 예금보험공사가 발행한 특별계정채권이 31조원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회수율은 지난 7월 기준 45.5%에 불과했다.


특히 올해 4분기 6000억 원에 달하는 특별계정채권의 추가 발행이 예정되어 있어, 4분기 추가 상환여부에 따라 회수율은 더 내려갈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박찬대 의원이 금융위원회로 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예금보험공사는 2011년도부터 2013년도까지 23조 3300억원 어치의 특별계정채권을 발행했으며, 지난 해에는 5조 6400억 원, 올해 7월까지 2조 300억원 상당의 채권을 추가 발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도부터 올해 7월 까지 14조 1000억원의 채권이 상환돼 남아있는 잔액은 16조 9000억원가량이다. 문제는 당초 상환계획이 계속 연기되고 있고, 회수달성도 마땅치 않다는 점이다.


예금보험공사는 만기도래하는 채권상환에 필요한 부족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추가 채권발행을 이어가고 있다. 


작년부터 올해 7월까지 7조 6700억원의 채권이 추가 발행됐고 올해 4분기 6000억원의 추가 발행을 앞두고 있어, 채권상환을 연장하기 위해 투자되는 비용만 8조 2700억원 가량이다.


하지만 올해 1조 2000억 원을 추가 상환한다고 해도 회수율은 50%에도 못 미치는 48.4%에 그칠 확률이 높다. 이는 당초 달성했어야 할 65.5%에 한참 못 미치는 수치다.


게다가 2011년도 발행채권 만기가 3년이었던 것에 비해, 2015년도 발행채권의 만기는 7년에 달해, 저축은행 부실 문제는 최소 2022년까지 예금보험공사의 부담으로 남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예금보험공사는 특별계정채권 발행으로 인한 총 이자 비용을 6조원정도로 책정하였으나, 회수율 38%수준이었던 2015년 기준 이자누적액은 4조 6천억원으로, 당초 계획했던 6조원 대비 76% 수준의 이자를 이미 지급한 상황이다.
 
박찬대 의원은 “
특별계정채권 잔액이 16조원을 넘는 만큼 이에 대한 장기상환 계획을 명확하게 밝히고, 검증 받을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인터뷰] 임채수 서울지방세무사회장 권역별 회원 교육에 초점
(조세금융신문=이지한 기자) 임채수 서울지방세무사회장은 지난해 6월 총회 선임으로 회장직을 맡은 후 이제 취임 1주년을 눈앞에 두고 있다. 임 회장은 회원에게 양질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지방회의 가장 큰 역할이라면서 서울 전역을 권역별로 구분해 인근 지역세무사회를 묶어 교육을 진행하고 있어 회원들의 호평을 받고 있다. 올해 6월에 치러질 서울지방세무사회장 선거 이전에 관련 규정 개정으로 임기를 조정해 본회인 한국세무사회는 물론 다른 모든 지방세무사회와 임기를 맞춰야 한다는 견해도 밝혔다. 물론 임원의 임기 조정을 위해서는 규정 개정이 우선되어야 하지만, 임기 조정이라는 입장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은 처음이라 주목받고 있다. 임채수 회장을 만나 지난 임기 중의 성과와 함께 앞으로 서울지방세무사회가 나아갈 길에 대해 들어봤다. Q. 회장님께서 국세청과 세무사로서의 길을 걸어오셨고 지난 1년 동안 서울지방세무사회장으로서 활약하셨는데 지금까지 삶의 여정을 소개해 주시죠. A. 저는 1957년에 경남의 작은 시골 마을에서 8남매 중 여섯째로 태어났습니다. 어린 시절에는 대부분 그랬듯이 저도 가난한 집에서 자랐습니다. 그때의 배고픈 기억에 지금도 밥을 남기지